오늘 깨달음이 있는 문화예술은 아랍어로 방송되며 자막에는 아랍어 중국어 영어 어울락어(베트남어) 프랑스어 독일어 인도네시아어 일본어 한국어 말레이어 페르시아어 포르투갈어 러시아어 스페인어 타이어가 제공됩니다

인아쉬 알우스라 협회 (가족의 활기)은 굉장히 사랑받는 지역사회 리더 사미하 카릴 씨가 1965년 설립한 자선단체입니다 자급자족과 능력의 가치를 굳게 믿었던 그녀는 지역사회와 나라를 위한 봉사를 통해 많은 사람들에게 영감을 줬습니다

팔레스타인 전통문화 박물관은 민속 공예품을 개발하고 팔레스타인 전통문화를 보존하기 위해 1977년 설립되었습니다

나브루스 지역이나 라비디아라 불리던 마을의 드레스입니다 라비디아 드레스지요 라비디아 드레스는 나브루스에 있던 큰 마을 라비디아에 속합니다 나브루스는 팔레스타인 도시고요 이 옷은 몇몇 팔레스타인 도시겁니다 제닌 툴카렘이나 라말라 같은 중앙 팔레스타인 도시와 관련있는 의복이고요

어떤 건 팔레스타인 도시 알 마즈달,헤브론과 관련있는 의복입니다 어떤 건 예리코랑 관련있는 의복이고요 어떤 의복들은 알 비레와 라말라 지역 예루살렘 지역과 관련있는 의복입니다

예를 들어 이 드레스는 베르 셰바와 관련 있답니다 이건 알 비레와 라말라 지역과 관련있는 의복이고요 이건 알 비레와 라말라 지역 거에요 라말라 지역 거에요 여기 있는 자수는 모두 팔레스타인 거에요

팔레스타인 여성들은 매일 공식적으로 이런 옷을 입었어요 장례식 결혼식 같은 모든 행사에서도요 이 옷들은 각각의 도시를 나타냅니다 이 도시의 여성들은 모두 유사한 스타일의 옷을 입었지요 그래서 특별한 드레스였지요 이것은 팔레스타인 남성의 옷이고 이건 팔레스타인 여성의 드레스에요

예를 들면 외투가 있잖아요 팔레스타인 남성들은 모두 이 외투를 입었어요 어떤 지역에서는 색상이 좀 다르긴 했어요 이 마네킹처럼 똑같은 걸 입었습니다 이 드레스는 라말라와 알 비레와 관련있으며 팔레스타인 여성을 나타냅니다

남성들은 여러 장의 옷을 입었어요 여기 알하타는 머리에 하고 이 갈색 알 에칼은 외투였지요 모든 여성들은 알이샤르와 알코르카를 입었답니다 남성들은 알하타나 알에칼에 외투를 입었고요

그 다음에는 박물관에 있는 농사기구를 살펴봅니다

여기서는 팔레스타인 지역에서 쓰는 농사기구를 볼 수 있습니다 여전히 이걸 개조해서 쓰고 있기도 하지요 예를 들어 여기 농사기구가 있어요 이건 수확에 쓰이는 다크란이에요 이 도구는 밀 보리를 들어올리는데 썼고요

이건 곡괭이에요 이건 소 노새 말이 논밭을 갈 때 쓰던 도구입니다 티차라고 불려요 이것도 수확에 쓰였어요

밀과 보리를 수확할 때 쓰던 도구로 낫이랍니다 풀이나 밀 보리 등을 벨 때 농부들이 썼지요 수확을 하고 나면 밀 쌀 보리 여타 곡물을 체로 쳐서 불순물을 걸러냈어요 이 도구는 팔레스타인 가정을 밝히는데 썼던 램프에요 보시다시피 이렇게 쓰는 거지요 기름이나 등유를 채웠어요

이 물품들은 요리를 하거나 음식을 나르는데 쓰던 것들로 쟁반과 팬이에요 이건 버너고요 스토브 대신에 요리하는데 썼답니다 보시다시피 이렇게 생겼어요 요리하는 데 쓰는 도구로 버너를 켰어요 이렇게 생겼지요

그 다음엔 팬을 위에다 놓고요 이렇게 요리하는 거였지요 뚜껑이에요 빵 굽는데 쓰였던 알바번이에요 반죽을 여기에 놓고 이 나무를 덮었어요 알타분에서 빵을 구우려고 여기에 불을 피우는데 쓰일 동물의 분비물이나 나무를 놨어요

이제는 팔레스타인의 전통 맷돌을 볼까요

쌀이나 밀 그리고 여타 곡물을 여기에 놨어요 곡물을 갈아주지요 갈아진 밀이나 보리가 여기로 떨어져서 모아졌어요 이 비구나랑 다른 바구니는 빵이나 과일을 담는데 쓰던 거에요 이건 토착어로 라칸이랍니다

라칸은 씻는데 사용됐어요 팔레스타인 여성들은 여기에 물을 넣고 씻을 물건을 넣었지요 다른 것과 마찬가지로 이 팬도 음식을 놓는데 쓰였어요 국자에요

보시다시피 나무로 만들어졌지요 음식을 저으려고 여기에 놓고 썼답니다 미스파이아 필터로 물기를 없애는 거에요 여기로 물이 나오고 음식은 안에 있는 거에요 주방도구가 몇개 보이지요 어떤 것은 주방에서 쓰였고 어떤 건 다양한 목적으로 집안에서 쓰였어요

예를 들면 이건 빨래하고 나서 다림질 할 때 쓰였고요 이건 마늘이나 견과류 등을 으깨기 위해 쓰던 모르타르에요

잠시 후에 팔레스타인 라말라에 있는 팔레스타인 전통 문화 박물관을 계속해서 살펴봅니다 수프림 마스터 텔레비전을 계속해서 시청해 주세요

깨달음이 있는 문화예술에서 라말라에 있는 인아쉬 엘 우스라 협회의 팔레스타인 민속 유산 박물관을 둘러보고 계십니다

이 섹션은 짚으로 만든 소쿠리 섹션입니다 다 수제 소쿠리들이죠 팔레스타인 여인들이 손으로 만든 겁니다 이 소쿠리 저 소쿠리 만드는 방법은 가히 하나의 예술이라 할 수 있습니다 팔레스타인 여성의 손을 거치 밀짚 소쿠리지만 색은 다 다르지요 이 중 몇몇은 염색되기까지 했지요

여기 있는 빨강 노랑 초록 소쿠리 같이요 이는 밀짚 소쿠리를 만드는 팔레스타인 가정과 여인들의 예술이었습니다 팔레스타인 여인들은 이 소쿠리를 빵을 굽거나 음식 공양 음식 나르기 등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했습니다

현대 시장에서 파는 쇠와 니켈 알 토티아로 만든 금속 바구니의 대용품을 만들어 썼었던 것이지요 여기에는 다양한 종류의 소쿠리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생긴 것은 각자 다르나 모두 야채와 과일을 보존하고 운반하는데 쓰였지요

예를 들어 알 메탄이라 불리는 이 종류의 소쿠리는 팔레스타인 여성들이 포도를 비롯한 과일과 야채 다른 물품들을 머리에 지고 다른 지역으로가 팔고 올 때 쓰이는 소쿠리였습니다

다음날 아침이 되면 야채 같이 잘 상하는 식품들을 다시 소쿠리에 담고 시장으로 향했지요 여기엔 당시 쓰였던 장신구들 중 일부가 전시되어 있습니다

많은 여성들은 집안에 있는 보석과 장신구들을 넣은 바구니를 손으로 들거나 머리에 이고 시장이나 다른 곳으로 향했습니다 이렇게 그들은 어디든지 걸어갈 수 있었지요 자수로 가득한 아름다운 전통의상을 입고 말이에요

결론 적으로, 지금 보시는 것들은 전부 음식을 내오거나 보존할 때 쓰이는 주방도구들입니다 냉장고 대신 소쿠리가 있었지요 음식은 식탁 대신 이 쟁반 위에 놓여졌습니다 집안에 큰 바구니나 장롱 같은 것은 없었습니다

여성들은 보석이나 다른 귀중품들을 전에 보신 방법으로 보관하곤 했지요 보면 볼 수록 정말 아름다운 도구들입니다 그들은 옷을 빨 때도 이 바구니를 썼습니다 메마른 주변 환경에 적응하고자 팔레스타인 여성들은 새로운 대안책을 더 쉽게 찾을 수 있었습니다

오늘날 널리 쓰이는 비닐봉지 대신 이런 바구니를 썼지요 식탁 대신 쟁반을 썼고 차 대신 알 메탄으로 팔 물건들과 다양한 도구들을 운반했습니다

고대 때부터 팔레스타인의 허브들은 다양한 용도로 쓰여왔습니다 이제 박물관의 허브 섹션으로 향해보겠습니다

팔레스타인의 가정은 현대의학의 대용으로 다양한 허브를 사용했습니다 이 고대 대체의학은 1920-30년대 까지 그 모습을 쉽게 볼 수 있었습니다 몇몇 사람들은 아직까지 이 허브들을 약초로 쓰지요

이 허브들은 병을 치료하거나 음식의 맛을 내는 용도로 쓰입니다 여기는 세이지 국화 몰식자 참나무 향과 알 데리아스가 있네요 이 허브는 스트레스에 좋다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팔레스타인의 전통의상과 장신구들을 둘러보겠습니다

이 의상은 팔레스타인에 있는 비산(북쪽 계곡) 지역의 의상입니다 여성 같은 경우엔 입는 의상을 보면 어느 지역 출신인지 알 수 있지요 이 옷은 비산 지역의 의상입니다 이 옷은 알 메르덴이란 팔레스타인 마을의 의상입니다

보시다시피 내복과 외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아르단 소매들은 옷 아래 있어야 합니다 보시면 의복은 두 부분으로 나뉩니다 이 초록색 옷은 이렇게 위에 걸치는 것이지요 이 옷은 북 팔레스타인 알 메르덴의 전통의상입니다

이 옷은 나블루스의 전통의상입니다 거의 모든 팔레스타인 남성들이 입는 이 옷은 알 콤바즈라고 부릅니다 이건 여성용이지요 옷 위에 여성들은 알 콤바즈 혹은 망토를 두릅니다

여기에는 팔레스타인 여성들이 착용했던 장신구들도 전시되어 있습니다 이건 알 와카이아 지역의 장신구고 이건 금붙이 대신 머리에 썼던 알 아샤리라는 장신구입니다 금으로 된 묵주네요

목걸이 줄이나 분홍색 목걸이들도 있습니다 이것들은 구슬로 만든 거네요 팔레스타인 여성들이 행사나 기념일에 착용한 아름다운 목걸이와 팔찌들도 전시되어 있습니다

이번화로 팔레스타인 라말라에 있는 인아쉬 엘우스라 팔레스타인 전통 박물관에 관한 이부작 프로그램을 마칩니다 아주 귀중한 팔레스타인 전통 문화유산을 보존하는 인아쉬 엘우스라 협회에 감사 드립니다 팔레스타인의 아름다운 국민들이 항상 평화와 풍요속에서 전통문화를 즐기길 기원합니다

친절한 시청자 여러분 오늘 프로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수프림 마스터 텔레비전에서 주목할 뉴스와 지혜의 말씀을 방영하니 계속 시청해 주세요 매일마다 더 지혜롭고 만족스러워지길 기원합니다

인아쉬 엘우스라 협회의 팔레스타인 전통 문화 박물관에 대한 저 자세한 정보는 다음을 방문하세요

전세계 물리학자들에게는 자연의 모든 힘을 하나의 공식으로 묶는 『통일 이론』을 만들어내는 게 오랜 숙원이었습니다

물리학계는 알버트 아인슈타인의 평생 숙원인 다양한 우주의 힘을 하나의 근원으로 통합하는 길을 발견하는데 특히 슈퍼스트링 이론 이후 지난12년 동안 꽤 많은 성과를 이뤄냈습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채식주의자 존 하게린 양자 물리학 박사는 아인슈타인의 비전을 만족시키며 이 세상에 평화를 가져오는데 실질적으로 응용할 수 있는 이론이 있다고 말합니다 궁금하시면 월요일8월30일 과학과 영성에서 『존 하겔린 박사 우주를 이해하려면 내면을 봐라』1부를 시청해주세요

세계적으로 유명한 채식주의자 존 하게린 양자 물리학 박사는 아인슈타인의 비전을 만족시키며 이 세상에 평화를 가져오는데 실질적으로 응용할 수 있는 이론이 있다고 말합니다

궁금하시면 오늘 과학과 영성에서 『존 하겔린 박사 우주를 이해하려면 내면을 봐라』1부를 시청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