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식가로서 저는 태양이 아주 중요하다 생각해요 태양은 먹지 않지만 저절로 돌아 가죠 나는 먹는 걸 그만두고 호흡식을 하게 되었죠 1990년부터 음식을 안 먹었어요 제가 호흡식을 한 최장기간이지요 이전에 제가 배고픔을 참을 수 없었을 땐 먹기도 했는데 나중에 자연스럽게 먹는 걸 그만뒀어요 먹고 싶었다면 당연히 먹었을 거예요 호흡식가가 되는 건 의지력의 결과가 아니고 자연적 상태죠

1990년 7월부터 홍칭 비구니는 중국의 연화사에서 음식 없이 물만 마시며 살아왔습니다 그녀의 몸은 그걸 원했습니다 그녀는 호흡식가가 되기 전에 평생을 비건이었습니다 놀랍게도 홍칭 비구니는 3살 때부터 먹지 않고 살았던 적이 있었습니다 세 네살 사이에 때때로 음식없이 석달간 살았습니다

호흡식으로 바꿨을 때 힘들었나요?

먹기를 그만두는 건 힘들지 않았어요 그냥 자연스럽게 했죠 그냥 정상인처럼 느껴졌어요

점점 덜 먹다가 마침내 먹는 걸 전부 그만뒀나요 아니면 먼저 먹는 걸 그만두기로 생각하고 그만둔 건가요?

그건 생각하지 않았죠 먹는 것처럼 느꼈어요 왜냐하면 내 위가 배고픔을 느끼면 먹곤 했으니까요 아무것도 안 먹으면 기분이 안 좋았어요 어릴 때 저는 단식이 무엇인지 몰랐어요 먹는 게 안 좋았을 때 그냥 먹기를 멈춰서 의도적이지 않았어요 어떤 이는 어떤 의도로 먹는 걸 그만두지요 유명해지길 원하거나 어떤 상태를 성취하기 위해서 하는 것처럼요 하지만 제 경우는 아주 자연스러웠죠

먹는 걸 그만뒀을 때 첫날에 느낌이 어땠나요?

첫날에 배고프지 않았어요 특별히 아무것도 못 느꼈어요

그냥 먹고 싶지 않았나요?

먹고 싶지 않았어요 아주 자연스러웠어요

사나흘 후 차이를 못 느꼈나요? 신체나 감정에 변화를 느꼈나요?

변화를 못 느꼈어요 저는 계속 독경했어요 더 많이 읽을수록 더 기분이 좋았어요 밤낮으로 경전을 읽었지요 잠자고 싶지도 않았어요

병이 나지 않았나요? 다른 걸 느꼈나요?

아니요

1주일 후에 1 달 후에 그리고 3달 후에 단계마다 신체적으로 어떻게 느꼈나요?

차이를 못 느꼈어요 굉장히 좋았어요 체중이 약간 늘었고 에너지를 더 얻었죠

그래서 육체적으로 느낌이 더 좋았나요?

예 먹는 걸 그만두자 더 가볍게 느껴졌어요 더욱 더 많은 에너지를 얻었어요 마치 전기적으로 충전되는 것 같았죠 에너지가 충만했고 잠잘 필요도 없었죠 먹으려 했다면 토했을 거예요

무슨 뜻인가요?

저는 음식을 삼킬 수 없었죠 토했어요 그래서 그냥 먹는걸 그만뒀죠

그래서 완전히 호흡식을 하게 됐군요

예,자연스럽게요

그 기간 동안 음식을 갈망하거나 배고픔을 느꼈나요? 채소를 먹고 싶었나요?

아니요 먹는 걸 그만두기 전 저는 물을 마시고 채소와 밥을 먹었어요 먹기를 그만두었을 때 때때로 갈증을 느껴서 건조한 날에는 물을 약간 마셨지만 거의 물을 안 마셨어요

음식을 갈망한 적이 있나요?

아니오 먹는 걸 그만둔 뒤에 제 위장은 전과 똑같이 느껴서 더 이상 먹을 생각이 없었지요 저는 어렸을 때 안 먹는 게 즐겁다고 생각하곤 했어요 저는 너무 어려 전혀 이해하지 못했죠 네 살 때부터 경전을 외우기 시작했어요 호흡식에 대한 특별한 목표는 없었죠 먹는 걸 그만두자 아주 가뿐해졌지요 출가해서 경전을 외우는 동안 아주 편안해졌어요 과학적으로는 먹기를 그만두면 굶어 죽겠지만 저는 아무것도 몰랐지요 저는 어떤 법문도 수행하지 않았고 그냥 시골 소녀였으며 부처님이 저를 보호해줘서 먹는 걸 그만두자 아주 행복했지요 저는 단식하는 동안 그냥 절에 앉아서 불상을 바라보며 향 냄새를 즐겼지요

어렸을 때부터 이미 농사일을 했나요?

예,아이 때 땔 나무를 했지요 우리 산 사람은 자연에서 자라며 땔나무로 음식을 하죠

날마다 어떤 농사일을 했나요?

땔 나무를 모으고 준비하고 농작물을 재배했죠 저는 통나무를 가져다 집을 지었죠 저희 산사람은 자연에서 자라서 철근 사는 걸 좋아하지 않아요 날마다 이 일을 하지요 이렇게 자연에서 살면서 산중턱에 가 땔 나무를 하고 통나무로 집을 지었죠

당신은 정말 활동적으로 보이는데 음식을 안 먹잖아요

우리 호흡식가들은 먹을 필요가 없어요 이런 땔나무를 하는 것은 일상적인 활동이죠 저는 아주 강해요

이런 땔나무를 많이 운반해야 하나요?

예,많이요 한 다발이 50킬로가 넘는데 아주 꽉 묶지요 단단한 잔가지거든요

먹는 걸 그만둔 후 이걸 운반할 때 예전 보다 약해졌다고 느꼈나요?

예전보다 강해졌어요 영적인 수행을 했기 때문이지요 먹는 걸 그만두면 다른 사람보다 더 강해지고 다른 사람보다 더 강한 힘을 가질 수 있어요

그래서 더 강해졌나요?

예 이게 자연 환경에서 우리의 삶이죠

이게 전혀 무겁게 느껴지지 않나요?

아뇨,안 무거워요

이 나무는 아주 무겁고 아주 굵어요

집을 짓는데 이걸 쓸 수 있지요 그걸 가져와서 집을 짓는데 쓸 수 있어요 어떤 비용도 들지 않죠

모든 집을 이걸로 지을 수 있나요?

예,산나무로 지은 집은 곰팡이 피거나 썩지 않으며 흰개미가 들끓지 않아요 오래된 다른 나무로 지은 집은 조금 후에 곰팡이가 핍니다 하지만 산나무는 벌레가 생기지 않고 수백 년을 견딥니다 그래서 우리 산사람은 이걸로 집을 짓는 거지요 산생활이 돈도 많이 안 들지요

아주 강하시군요

이 땔 나무는 산나무에서 나오죠 이건 가지들이죠 왜 우선 여기에 둘까요? 마르게 하려고 여기 놔두지요 마르고 난 뒤 위층으로 옮겨 땔나무로 씁니다 산나무에서 나온 목재는 집을 짓는데 쓰고 잔가지는 땔감으로 쓸 수 있습니다 이건 동백나무죠 잔가지는 용도가 많아요 어떤 사람은 땔나무를 자를 때 산가지를 자르지 않고 죽은 가지 만을 자르지요 그들은 왜 산 가지를 자르지 않을까요? 식물 역시 생명이 있기 때문이죠 그래서 죽은 가지만 자르려는 거지요 나무도 나이를 먹어요 생명이 있으므로 그들을 자르면 화를 낼 겁니다 그게 우리가 환경을 보호해야 하는 이유죠

우리 나라와 세계의 식물을 보존해야 합니다 숲을 보호하는 건 우리의 의무지요 우리 비건 출가자들 호흡식가들은 생명 있는 건 자를 수 없죠 나무가 나이가 들면 죽게 되고 그들의 영혼이 이 세상을 떠나면 불을 때기 위해 그들을 자를 수 있지요 산가지는 자를 수 없죠 자르면 화를 낼 겁니다 령이 끊어질 겁니다 그러면 나쁜 업장(응보)를 지을 겁니다 이런 가지만이 불을 때는데 사용될 수 있지요 그런 거지요

이리 와요 당신 겁니다 가득 차면 오리가 시끄럽지 않을 겁니다 여기 인간으로서 우리 삶에서 우리 주위 모든 동물은 생명이 있지요 우리는 동물,숲 생명이 있는 모든 걸 보호해야 합니다 그들은 생명을 가진 중생이지요 우리는 모든 중생을 보살피고 보호해야 합니다 인간은 가장 고등한 창조물이죠 우리는 생명을 지닌 모든 걸 보호해야 하죠 땔나무나 식물 조차 영혼이 있습니다 그래서 보살상이 모두 장뇌 나무로 조각되는 거지요 고대부터 부처는 깨달음을 성취한 사람입니다 그들은 중생을 구제하기 위하여 인간으로 돌아옵니다 닭과 오리 역시 중생이지요 우리 산사람 아버지 어머니 모두 자연에서 성장합니다 우리는 하루 24시간 통곡식으로 살아가기 때문에 건강한 거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