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톡홀름 대학교 북극 연구가 국제적 반향을 일으키다  
email to friend  친구에게 보내기    프린트
출처: Stockholm University

인디펜던트지(영국)는 스톡홀름대 ITM 연구소의 오르얀 구스타프슨 (Örjan Gustafsson) 부교수와 러시아 연구선의 야콥 스미니트스키(Jacob Smirnitskyi)가 교환한 이메일 서신 내용을 실었다.

“처음으로, 우리는 해저 밑바닥에서 격렬히 분출되어 해수에 용해될 시간 없이 수면위로 뿜어져 나오고 있는 메탄 가스에 대해 문서화했습니다.”

구스타프슨은 ITM 박사과정의 두 학생 반야 알링(Vanja Alling)와 요리안 본크(Jorien Vonk) 그리고, 미국과 러시아 연구원들과 함께 국제 시베리안 대륙붕 연구(ISSS-08)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45일간 스미르니트스키의 연구선에 올랐다.

탐험대의 목적은 어떻게 막대한 양의 탄소, 물질, 물이 시베리아 영구동토를 지나 북극해로 흘러 들어와 기후에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는 것이었다.

국제적 언론에 보도된 바대로, 탐험대의 발견은 혁신적인 것이었다.

구스타프슨 박사는 이렇게 말했다. “지금까지는 시베리아 대륙붕의 영구동토 층 덮개가 메탄의 광대한 침전지의 방출을 막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접근이 어려운 이 지역에서의 메탄 방출에 대한 커져가는 증거는 영구동토 층 덮개가 훼손되어 메탄이 새어 나오고 있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북극 해저에서 분출되고 있는 수백만 톤의 메탄은 지구온난화를 가속화 한다. 그 결과 지구가 받는 영향은 대단한 것이다.

ITM 연구원들과 학생들은 스톡홀름 연구단이 게재하고 있는인터넷 블로그를 통해 연구결과를 열람하고 있다: http://isss08.wordpress.com/

ITM 총장 한스 브로그 교수는 이렇게 말했다. “그들의 연구 결과가 세계적인 저널에 실린 것은 흥분되는 일이었습니다. 이 것은 중요한 연구이며 2007-2008 국제 극지관측의 해의 스웨덴의 주요 공헌입니다.”

국제 극지관측의 해를 맞아 극지 과학 증진을 위해 60여 개국의 수 천명의 과학자들은 200개 이상의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대규모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2007년 3월부터 2009년 3월까지 진행된다.

2008 국제 시베리아 대륙붕 연구에 대한 이 첫 발견은 미국지구물리연맹에 의해 발표될 것이다.

글: 존 뷔스칼

2008 스톡홀름 대학 극지 연구 탐사 :
http://www.su.se/english/research/expeditions
세계적 신문에 실린 스톡홀롬 대학교 극지 연구:
www.independent.co.uk
www.telegraph.co.uk
www.dailymail.co.uk
www.guardian.co.uk

Örjan Gustafsson, an associate professor at ITM relayed the news to The Independent (UK) from onboard the Russian research ship Jacob Smirnitskyi via email: "An extensive area of intense methane release was found. At earlier sites we had found elevated levels of dissolved methane.

"[For] the first time, we documented a field where the release was so intense that the methane did not have time to dissolve into the seawater but was rising as methane bubbles to the sea surface."

Gustafsson –along with two doctoral students from ITM, Vanja Alling and Jorien Vonk– has been on board the Smirnitskyi for 45 days as part of the International Siberian Shelf Study (ISSS-08) project, which also involved researchers from Russia and the USA.

The aim of the expedition was to better understand how the enormous flows of carbon, material and water that pass through the Siberian tundra to the interior of the Arctic Ocean affect the climate.

As the international press reported, the team's discovery is ground-breaking.

"The conventional thought has been that the permafrost 'lid' on the sub-sea sediments on the Siberian shelf should cap and hold the massive reservoirs of shallow methane deposits in place," Gustafsson said.

"The growing evidence for release of methane in this inaccessible region may suggest that the permafrost lid is starting to get perforated and thus leaking methane."

Just what this means for the planet could be significant as millions of tons of methane escaping from beneath the Arctic seabed may rapidly accelerate global warming.

Colleagues and students at ITM have been able to follow the findings of the Stockholm research group via their blog: http://isss08.wordpress.com/.

"It's exciting to see their work picked up by the international press," said Professor Hans Borg and Unit Head at ITM. "This is important research and represents a major Swedish contribution to the  International Polar Year 2007-2008."

The International Polar Year is a large scientific research initiative involving over 200 projects and thousands of scientists from over 60 nations, striving to make major advances in polar science. The programme runs from March 2007-March 2009.

The preliminary findings of the International Siberian Shelf Study 2008 will be published by the American Geophysical Union.

Text: Jon Buscal

Stockholm University polar research expeditions 2008:
http://www.su.se/english/research/expeditions

Stockholm University polar reserach in the International press:
www.independent.co.uk
www.telegraph.co.uk
www.dailymail.co.uk
www.guardian.co.u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