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to friend  친구에게 보내기   이 비디오를 개인 홈페이지나 블로그에 게시하시려면 다음 버튼을 눌러 동영상 소스를 복사하세요.  동영상 소스 복사   프린트

계속된 화석연료의 연소로부터 세계의 기온이 급격히 오릅니다
 

미국 국립대기연구 센터 (NCAR)의 제프리 키엘 박사는 지구의 과거 기후가 기후변화로 인한 미래를 어떻게 예측할 수 있는지의 연구를 이끌었습니다. 그는 만일 화석연료 연소의 현재 속도가 금세기 말까지 계속된다면 대기중의 탄산가스 농도가 산업혁명 전의 280과 오늘날 390의 수준에 비하여 약 9백 내지 1천 ppm에 도달할 것이라고 추정했습니다.

만일 그런 규모의 탄산가스 농도에 이르면 자연적인 과정으로 그것이 제거되는데 수만 년이 걸릴 수 있습니다. 탄산가스 농도가 마지막으로 그렇게 높았던 때는 3천만년 내지 1억년 전으로 기온도 역시 매우 높았었습니다. 키엘 박사는 이러한 시나리오 아래의 세계 평균기온은 산업혁명 이전에 비하여 섭씨 약 16도 높은 온도에 도달할 것으로 추정합니다.

그는 말했습니다. 『우리가 탄소배출을 줄이려 대단한 노력을 시작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인간의 종이 결코 겪어보지 않은 궤도에 우리의 행성을 놓고 있는 것입니다. 우리는 인간의 문명을 수 세대 동안 다른 세상에서 살도록 이미 저질렀을 것입니다』 우려되는 암시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통찰들을 제시하신 키엘 박사와 국립대기연구센터의 동료들에게 감사를 드립니다.

지구와 거주자들에게 잠재적으로 끔찍한 이 시나리오가 모든 생명을 위해 살기 좋은 미래를 보장하는 선택의 동기가 되기를.

2009년 10월 포모사(대만)의 화상회의에서처럼 칭하이 무상사는  지구온난화 문제의 해결책도 가리키는 과학적인 발견들을 자주 설명해 오셨습니다.

칭하이 무상사: 이산화탄소는 대기 중에 수십년이 넘게 머물지만 메탄의 잔류기간은 12년 정도지요. 그러니 우선 메탄에 초점을 맞추는 게 효과적이고 지혜로울 겁니다. 최고의 원천인 축산업을 중단해야죠. 그러기 위해선 반드시 식단을 바꿔야 합니다.

또한 우리가 유기농으로 심는다면 유기농법으로 공기 속에서 벌써 적어도 이산화탄소의 40%를 흡수할 수 있을 거예요 그러면 노래를 부를 수 있고 세상은 구해질 겁니다. 우리 아이들은 영원히 이 집에서 계속 살 수 있을 거예요.

http://www2.ucar.edu/news/3628/earth-s-hot-past-could-be-prologue-future-climate
http://www.physorg.com/news/2011-01-earth-hot-prologue-future-climate.html


그 밖의 소식

* 유엔 마약범죄사무소와 페루 환경국이 공동으로 시행한 연구에 따르면 불법 코카인 제품과 축산업을 위한 광범위한 산림벌채가 연간 15만 헥타르의 비율로 발생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1천만 헥타르의 원시림을 유실시켰습니다.

http://www.livinginperu.com/news-13876-environmentnature-deforestation-peru-generates-us$-66-million-loss, http://gestion.pe/noticia/698194/deforestacion-genera-perdidas-us-66000-mlls-peru,
http://www.unodc.org/peruandecuador/es/noticias/14-01-11-minam-y-unodc-presentan-estudio-de-analisis-
economico-sobre-deforestacion-en-pichis-palcazu.html


* 중국 동부의 산둥성은 여전히 국가에서 최악의 가뭄을 견디고 있어 1백만 명 중 1/4 이 물 없이 지내고 있으며 다른 성들도 장기간 비가 오지 않고 있어 국가의 겨울철 밀 파종의 90%가 시들고 있다고 합니다.

http://english.cri.cn/6909/2011/01/24/2743s617100.htm
http://www.asianews.it/news-en/Eastern-China-experiencing-worst-drought-in-a-century-20582.html


* 유엔 식량농업국의 최근 분석에 따르면 보호 단체들이 상어를 잡는 상위 20개국으로부터 더 많은 보호 조치를 촉구하고 있으며 매년 7천3백 마리가 상어지느러미 스프를 위해 죽임을 당하고 현재 30개 종이 멸종에 처해 있습니다.

http://www.earthtimes.org/articles/news/364652,shark-species-face-extinction.html,
http://www.spa.gov.sa/English/details.php?id=859765
http://www.traffic.org/home/2011/1/27/shark-populations-dwindle-as-top-catchers-delay-on-conservat.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