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to friend  친구에게 보내기   이 비디오를 개인 홈페이지나 블로그에 게시하시려면 다음 버튼을 눌러 동영상 소스를 복사하세요.  동영상 소스 복사   프린트

가뭄으로 중국 중부 수자원 수치가 최저를 기록합니다
11월 후난성의 홍수가뭄 통제구제 센터 본부가 창하시에서 거의 메마른 시앙지앙강 복원을 위하여 상류 저수지 물의 방류를 시작했습니다. 10월부터 11월 강유역에는 비가 28밀리미터만 내려 평균보다 69% 미만으로 물의 수위가 최저 공급 수준 이하로 떨어졌습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강이 완전히 말라 식수안보와 인근 마을의 지속이 위험에 처했습니다. 가까운 시일 내
비가 내릴 예보가 없어 지역관리들은 강중류에 긴급 음용수 지점을 세우는 방안을 토론하기 시작했습니다.

한편 신장 위그루 자치구의 가뭄이 오래지속되자 수천 킬로미터 떨어진 동부 발해 연안에서 해수를 끌어오는 송수관을 잇는 방안이 촉구되고 있습니다. 국가의 이런 가뭄은 2009년 이미 보여진 수자원 최저 기록에 이어집니다.

시민들에게 적절한 양의 귀한 물을 제공하려는 중국정부의 노력에 감사합니다. 피해 지역들이 축복의 비로 곧 구제되길 빌며 저희도 지구평형을 되돌리는 지속적인 절차들에 동참합니다.

인류 복지를 염려하며 칭하이 무상사님은 가장 효과적인 해법과 함께 기후변화의 막대한 결과를 2009년 6월 멕시코 회의의 화상 메시지를 통해 강조하셨습니다.

칭하이 무상사: 우리는 가뭄과 사막화를 경험합니다. 소중한 수자원도 메말라가고 있고요. 북경,델리 방콕 등과 미국 중서부 지역과 같은 다른 수십여 개 대도시 지하에 있는 대수층 말입니다. 반면 갠지스 강과 요르단 강 및 나일강 양쯔강 등은 수십년간 조금씩 줄어들고 있습니다.

지난 50여년간 중국 최악의 가뭄으로 최소 북부 12개 성에서 생존에 직결된 수확물을 잃고 미화 수십만 달러를 가뭄 구제를 위해 피해를 입은 농부에게 제공해야 했습니다.

그리 빠른 건 아니지만 너무 늦은 건 아니에요. 아직은 지구를 구할 수 있습니다. 가장 첫번째 해결책은 유기농 비건 채식이지요. 채식을 선택하면 지구온난화를 80% 멈출 수 있고 세계 기아를 근절하고 전쟁을 멈추고 평화를 촉진할 수 있으며 지구의물뿐 아니라 다른 많은 귀중한 자원도 확보해 지구와 인류를 위한 생명줄을 제공할 겁니다.
http://www.chinadaily.com.cn/photo/2010-11/09/content_11524065.htm


그 밖의 소식

*아프리카의 미국 연구진들이 시행한 한 연구는 옥수수와 콩의 윤작같은 농법이 윤택한 토양을 유지하고 25%에 달하는 생산량을 증가시켜 식량 안보 개선을 도울 수 있는 점을 보여줍니다.
http://www.happynews.com/news/11242010/shrubby-crops-help-fuel-africa-green-revolution.htm
http://news.msu.edu/story/8632/

* 미국 연구진들이 대기중으로 들어가는 온실가스를 감소시키는 방안으로 이산화탄소를 지하 깊이 주입하는 방안이 사실 일부지역 대수층으로 새어들어 식수 공급을 오염을 야기한다고 보고합니다.
http://green.blogs.nytimes.com/2010/11/19/what-if-captured-carbon-makes-a-getaway/?hpw
http://pubs.acs.org/doi/abs/10.1021/es102235w
http://www.nicholas.duke.edu/news/leaks-from-co2-stored-deep-underground-could-contaminate-drinking-water

* 세계 최대 태양열 범선 투라노르가 여섯 명의 선원과 함께 멕시코 칸쿤에 무사히 도착해  유엔 기후회담에서 대체 에너지 자원이 미래의 방안임을 증명하길 바랍니다.
http://english.cntv.cn/program/newsupdate/20101130/102166.shtml
http://www.eco-business.com/news/2010/nov/30/solar-boat-heads-cancun/

* 스웨덴 조사원들이 중국에서 2년 전 시행된 비닐봉지 요금 부과로 사용량이 절반으로 감소된  점을 발견했습니다.
http://www.physorg.com/news/2010-11-plastic-bags-bag-consumption-china.html
http://www.takepart.com/news/2010/11/30/china-plastic-b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