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to friend  친구에게 보내기   이 비디오를 개인 홈페이지나 블로그에 게시하시려면 다음 버튼을 눌러 동영상 소스를 복사하세요.  동영상 소스 복사   프린트

어장의 바닷니에 야생연어가 감염됩니다 

캐나다 연구진들은 어장들이 캐나다 콜럼비아해 연안 야생 연어들이 감연된 바닷니와 기타 병원균들의 주요 근원지인 점을 발견했습니다, 이 연구는 어장이 없는 지역에서는 성장중인 연어의 5%만이 감염된 반면 어장이 집중된 지역의 연어는 40%까지 영향을 받은 사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리드 오서인 사이먼 프래셔대학 존 레이놀드 교수는 『 모두가 전에는 브로튼의 특정 문제였다고 여겼지만 현재는 저희가 조사한 모든 지역에 발생한 문제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어장들은 약물로 바닷니를 통제하려는 시도를 하지만 자연 물고기들 특히 취약한 치어들에게 치명적입니다. 레이놀드 교수님과 동료들의 어장이 자연생태계에 주는 중대한 위험을 강조하신 노력에 감사를 전합니다. 이런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들을 제거하는 데 노력하여 연어와 우리 지구를 축복하는 모든 다른 존재들의 안전을 보장하길 바랍니다.

칭하이 무상사님은 인류의 공동거주자들에 대한 더욱 사려깊은 행동의 필요성을 오랫동안 강조하셨습니다. 다음은 2009년 8월 태국 화상회의 내용입니다.

칭하이 무상사: 자연진화는 진화하게 놓아 두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제 우린 모든 걸 간섭하게 됩니다. 우린 동물을 기르고 그들이 움직일 수조차 없는 작고 비좁은 우리에 강제로 밀어 넣어서 병을 키우고 이런 병이 든 동물의 살을 먹음으로써 우리 자신이 고통을 받게 되는데 동물에게도 우리에게도 고통의 원인이 됩니다.

동물을 부자연스럽게 기릅니다. 적어도 매년 550억 마리 가축과 수십 억 마리 이상의 물고기 등을요.
이런 건 자연이 만든 게 아녜요. 물고기를 제한된 지역에 기르기도 하죠. 이 숫자는 그 때부터  증가되었고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우린 인간 진화에도 역행했습니다. 우린 생물학적으로 식물 위주의 음식만을 소화하게 만들어졌죠. 우린 모든 종을 보호해서 생물다양성을 지키고 인간을 포함한 모든 존재의 자연진화를 지켜야 합니다. 부디 채식해 주세요.
http://www.earthtimes.org/articles/news/353836,sea-lice-from-farmed-salmon-has-been-found-infesting-
wild.html
http://www.timescolonist.com/Lice+affect+more+salmon+than+thought+study+says/3816362/story.html




그 밖의 소식


* 영국 기술자가 개발한 전기차 SR제로는 70일 만에 미국 알래스카 북극권 근처부터 아르헨티나까지의 26000킬로미터 주행을 배기가스없이 지열충전 배터리로 완료했습니다.

http://inhabitat.com/2010/11/19/srzero-ev-completes-epic-journey-from-alaska-to-argentina/
http://en.mercopress.com/2010/11/18/alaska-to-ushuaia-in-an-electric-car-developed-at-the-imperial-college-
london


* 멕시코 시민단체들이 배출가스를 줄이고 국민들과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하여 저탄소 경제를 만드는 포괄적이고 장기의 정책들을 장기의 정책들을 통과시키길 정부에 요청합니다.

http://www.plenglish.com//index.php?option=com_content&task=view&id=238850&Itemid=1


* 십년의 가뭄과 최근 기록된 고온으로 인한 물기근 현상으로 시리아의 50만 명 이상이 새로운 생활과 생계를 찾아 고향을 떠납니다.

http://www.reuters.com/article/idUSTRE6AE2BT20101115


* 미국 농무성이 완전 조리된 훈제 칠면조 고기 2600파운드 이상을 잠재적으로 치명적인 리스테리아균 오염 가능성으로 오염 가능성으로 회수조치한다고 발표합니다.

http://www.fsis.usda.gov/News_&_Events/Recall_060_2010_Release/index.a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