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to friend  친구에게 보내기   이 비디오를 개인 홈페이지나 블로그에 게시하시려면 다음 버튼을 눌러 동영상 소스를 복사하세요.  동영상 소스 복사   프린트

상을 받은 영화가 세계 바다에 넘치는 플라스틱을 보여줍니다
프랑스 다큐멘터리 『인어의 눈물: 바다의 플라스틱』은 관객들을 『플라스틱 수프』가 된 지구의 바다로 데려갑니다. 특히 이 영화는 수많은 해양 동물에게 영향을 주는 오염에 초점을 맞춥니다.

예를 들어 네덜란드에서는 풀마갈래기의 감소를 조사했던 과학자들이 죽은 새의 위 95%가 플라스틱으로 찬 것을 발견했고 미국 캘리포니아에선 돌고래와 고래들이 플라스틱 쓰레기로 소화기가 완전히 막혀 극도의 고통으로 죽은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인도의 눈물』이란 문구는 어류의 알이나 플라스틱 물질의 운송에서 흘러나온 더 작은 입자 혹은 수년에 걸쳐 폐기물이 부서진 것 같은 작은 플라스틱 펠렛을 의미합니다. 바다의 매 평방미터에 현재 평균
7만4천 종의 플라스틱이 넘쳐나 소위 이런 인어의 눈물은 정화가 불가능한 상태입니다.

프랑스의 상드린 페브델이 감독한 이 영화는 플라스틱 오염의 파괴적 영향에 대한 사려깊은 통찰로 프라하 축제의 최고 환경영화상과 2010 테살로니키 다큐멘터리 영화제의 그리스 공영방송상을 포함해 수많은 상을 받았습니다. 페브델 씨의 해양의 인류 오염에 대한 해양 동물들의 곤경을 확실히 보여준 다큐멘터리에 진심으로 감사를 전합니다. 모두 빨리 이런 해로운 영향를 되돌려 우리 행성과 해양의 건강을 되찾는 데 행동하길 바랍니다.

지구 생물의 균형을 항상 염려하시는 칭하이 무상사님은 종종 인류가 자신들의 생존을 우리 행위에 의존하는 생명들을 더욱 배려할 수 있는 법을 언급하시며2008년 5월 한국화상회의에서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습니다.

칭하이 무상사: 많은 곳에서 이미 비닐 봉지 사용을 금하고 있으며 그건 아주 훌륭한 시작이라고 봅니다. 그런 해로운 물질을 좀 더 강경하게 금지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판지를 대신 사용할 수도 있고 보다 처리가 용이하고 친 환경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 바꿔야 합니다. 환경을 파괴해 왔습니다. 이 모든 걸 봤을 때 더 나은 결과를 기대하긴 어렵습니다.

그러니 우리가 지금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우리의 행동을 바꿔야 합니다. 지구 주민들에게
친절해야 합니다. 그들을 죽이고,대량 학살하며,희생시키는 대신 그들을 돌봐줘야 합니다. 그냥 채식을 하세요. 모든 동물성 제품을 거부하면 아무도 더 이상 동물을 키우지 않을 것이고 아무도 더 이상
죽이지 않을 겁니다. 그러면 가축을 키우는 물리적인 유해함을 멈추게 됩니다. 

 http://www.viadeCOuvertes.fr/pages/fr/reference.php?id=86
 http://www.javafilms.fr/spip.php?article268
 http://www.indiewire.com/article/eyes_takes_thessaloniki_doc_fests_top_prize/# 


 
그 밖의 소식

* 최근 내린 비에도 인도 비하르와 오릿사 쟈르칸드와 서 벵갈 주는 여러 지역에 걸쳐 가뭄을 선포했으며 정부는 곡물 피해 규모로 농부들을 지원하는 방안을 준비하는 중입니다.
http://timesofindia.indiatimes.com/india/Entire-Bihar-is-drought-hit-Nitish-Kumar/articleshow
/6314720.cms#ixzz0wflVwuH9
http://timesofindia.indiatimes.com/india/Entire-Bihar-is-drought-hit-Nitish-Kumar/articleshow/6314720.cms


* 호주의 기후 변화 및 지속가능성 부서의 케이트 존스 장관은 총1억kg의 CO2를 감소시키자는 여성들의 맹세를 통해 지구 온난화를 알리려는 목적의 『백만 여성들』이란 캠페인에 대한 여성들의 참여를 권해 지금껏 2만6천명이 참가했습니다.
www.mysunshinecoast.com.au/articles/article-display/queenslanders-join-1-million-women-to-fight-climate-change,18285 


* 말레이시아와 독일 과학진은 동남아시아 보르네오 섬의 낭상엽 식물군 근처 서식하는 콩만한 크기의 개구리종을 발견했는데 이는 아시아와 아프리카 및 유럽 대륙에 걸쳐 발견된 가장 작은 양서류로 분류됐습니다.
http://www.physorg.com/news201975562.html
http://www.mapress.com/zootaxa/2010/f/z02571p052f.pdf


* 캄보디아에서 올해 쌀 수확량의 22% 감소가 예상되는 이는 가뭄과 우기의 지연으로 기록적인 낮은 용수 수준에 따른 것으로 이로써 또한 많은 어종의 산란지가 파괴되어 어류의 수를 막대하게 감소시키고 있습니다.
http://www.upi.com/Science_News/Resource-Wars/2010/08/26/Low-water-a-concern-for-Cambodia
/UPI-93951282819039/
http://www.irinnews.org/Report.aspx?ReportId=90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