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to friend  친구에게 보내기   이 비디오를 개인 홈페이지나 블로그에 게시하시려면 다음 버튼을 눌러 동영상 소스를 복사하세요.  동영상 소스 복사   프린트

나이지리아의 수천명이 납중독 피해를 입었습니다.
잠파라 주 불법광산에 대한 최근의 사건 후에 자국 보건부장관은 납중독으로 지금까지 160명 이상이
사망했으며 355명이 납중독 진단을 받았다고 말했습니다.

나이지리아 정부는 세계보건기구 (WHO)와 국경없는 의사회 그리고 미국의 질병통제센터 (CDC)의 도움을 요청했습니다.

CDC의 실험은 오염지역 수천 명의 성인과 아동들이 납중독의 심각하게 높은 혈중 수치를 보였다고 밝혔습니다.  납의 독성효과는 오랫동안 남아 실명,청력상실 혹은 모든 운동기능 상실을 가져옵니다.

비비 아브람스 기관 대변인은 『중독의 범위가 세계 납중독에 관한 CDC의 연구에 전례가 없는 정도』라고 말했습니다.

세계 보건 단체들은 현재 급히 지역 주민들에게 효과적인 정화와 봉쇄 절차를 훈련시키면서 다음달에 예상되는 계절성 폭우로 다시 퍼질 독성 물질이 멈추길 바라고 있습니다.

나이지리아 정부와 무고한 주민들의 고통을 없애기 위해 일하는 모든 지원 단체들에 깊은 감사를 전합니다.
잃어버린 생명에 슬프며 영향을 받은 분들의 안위와 회복을 기도합니다.
우리가 지구를 더욱 의식 있게 관리해 이런 비극을 없애도록 노력합시다.

칭하이 무상사는 오랫동안 인류에게 환경과 지구의 모든 생명을 위해 생태권을 더욱 배려하는 행동을 촉구하셨으며 2008년 7월 포모사 화상회의에서도 말씀하셨습니다.

칭하이 무상사 : 이젠 모두들 환경보호와 동물 보호가 사실은 우리 자신을 보호하는 거라는 걸 압니다. 그래서 우린 환경을 보호해야 합니다.

환경이 온화하고 건강한 생활방식에 도움이 된다면 모든 것이 좋아질 겁니다.
자연 서식지를 보호하기 위한 더 많은 규칙과 지침이 있어야 합니다.

때때로 우리는 장기적인 효과를 간과하기 때문입니다.
단지 즉각적 혜택을 보거나 얻으려 하고 장기적으로 자연에 부주의하게 건설하고 피해를 주거나 방해한 것인지 생각하지 않죠. 방해한다면 그 결과는 우리 자신과 행성에 해로울 겁니다.
지금 우리가 직면한 것처럼요.

빨리 행동해야 해요. 채식과 환경보호하세요.
http://www.irishtimes.com/newspaper/world/2010/0608/1224272053162.html
http://www.reuters.com/article/idUSTRE6561TQ20100607
http://www.google.com/hostednews/ap/article/ALeqM5ijnJN8e_o1Ik8H7yUQlfAoUNRc0wD9G798S80
http://www.tribune.com.ng/sun/index.php/front-page-articles/1244-251-now-dead-in-zamfara-poison-tragedy-
residents-flee-govt-votes-n240m-to-fight-spread

유엔환경계획이 생물다양성보호의 새로운 과학 정책을 개발합니다.
유엔환경계획 (UNEP)과 한국 환경부가 공동주관한 회의가 공동주관한 회의가 6월 11일 막을 내렸습니다. 정부 참석자들은 과학적 연구와 정부정책을 더욱 연결시키면서 전례가 없는 생물다양성과 생태계의 감소를 멈추기 위한 새로운 절차를 만드는 데 동의했습니다.

한국 특파원 (F): 지난주 한국 부산에서 97개 정부대표와 50개 단체들은 자연을 보호하는 새로운 패널, 즉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 서비스에 관한 과학정책협의체 (IPBES)를 창설하기 위해 모였습니다.

Achim Steiner – Executive Director, UNEP (M): 우린 극적인 변환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더 이상 이론적인 시나리오가 아니라 실제 세상에서 목격하고 있어요.

특파원 (F): 야생동물종과 생태계가 놀라운 속도로 파괴되고 있습니다. 그 결과 인간이 이미 자연의 이로움을 60% 이상 잃어버리고 대신 현재 식량부족과 홍수 산사태 등의 이런 상실의 영향으로 고통 받고 있습니다.

Dr. Harold Mooney - Co-chair of the 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 (M): 생물다양성은 우리에게 깨끗한 물을 주고 기후 조절, 질병 조절 수분을 해주지요. 이런 게 우리 삶 우리의 복지의 초석인데 그들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특파원 (F): 새로운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 서비스에 관한 과학정책협의체 (IPBES)는 유엔 기후변화정부간 패널(IPCC)과 비슷하게 기후온난화를 정부 아젠다의 첫 과제로 인식하는 걸 돕게 될 것입니다.

Dr. Harold Mooney (M): 생물다양성에 대한 인류활동의 영향은 기후체계에 영향을 줍니다.
상호관련이 있지요.

특파원 (F): 지구온난화와 생물다양성 감소의 첫 번째 요인은 축산으로 해로운 가스를 내뿜고 환경을 오염시키며 서식지를 파괴하지요.
 
이 행사에 앞서 유넵의 보고서는 최악의 기후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동물관련 상품을 멀리 할 필요성을 촉구했습니다.

Achim Steiner – Executive Director, UNEP (M): 축산 특히 육류 생산은 자원소비라는 점에서 엄청나게 많은 영향을 주는 것이지요. 그러므로 패널들은 생활방식을 바꾸자에 동의했습니다.
육류 소비 감소는 곧 9억이 되는 세계인구의 해법의 일환입니다.

특파원 (F): 5일간의 회의를 마치며, 유넵과 한국 환경부는 모든 참가자들과 언론인들에게 유기농 완전채식 점심을 제공하면서 환경을 위한 채식의 유익함에 대한 안내서를 제공했습니다.
러빙헛 비건 식당은 친환경 식사를 제공한 공식 공급자였습니다.
지금까지 한국 부산에서 수프림 마스터TV였습니다.

리포터 :유엔환경프로그램과 한국 그리고 모든 회의 참석자들의 우리가 의지하는 자연의 세상을 보호하려는 이런 새로운 정책을 이끈 헌신적인 노력에 감사를 전합니다.
우리가 빨리 단결하여 특히 가장 강력한 보존 방법인 유기농 채식생활을 실천하길 바랍니다.
http://ipbes.net/news-centre.html
http://www.guardian.co.uk/environment/2010/jun/09/france-japan-ipcc-for-nature

그 밖의 뉴스
- 아랍에미리트 연합은 2013년 시행되는 생분해되지 않는 비닐봉투 사용의 금지법과 관련해 플라스틱의 위험성을 알리는 캠페인이 아부다비에서 시작되어 플라스틱 쓰레기가 해양과 육지 동물을 사망에 이르게 할 수도 있는 해로움을 나타낸 그래픽 이미지를 전시합니다.
http://www.khaleejtimes.com/DisplayArticle.asp?xfile=data/theuae/2010/June/theuae_June250.xml&
section=theuae&col=
http://gulfnews.com/news/gulf/uae/environment/plastic-bags-must-now-be-eco-friendly-in-ajman-1.632813

- 미국국립해양대기청의 기상학자들은 마린과 뉴 헴프셔,버몬트 주 남동부가 봄철 기온 중에 최고 기온을 기록했다고 보고했습니다.
http://www.upi.com/Science_News/2010/06/09/Warmest-May-ever-in-some-NE-states/UPI-52771276096360/
http://wbztv.com/local/record.warm.spring.2.1743079.html
http://www.noaanews.noaa.gov/stories2010/20100608_maystats.html

- 니제르는 오랜 가뭄과 물 부족으로 인한 흉작으로 국민의 절반 가량이 굶주리고 있으며 남부 진데르 주에선 생활에 필요한 물을 구입하기 위해 20킬로미터를 가야만 합니다.
http://www.alertnet.org/thenews/newsdesk/IRIN/a4da76ca5f75e9f4347e2d6544506c09.htm
http://www.huffingtonpost.com/2010/06/09/niger-drought-leaves-mill_n_606085.html

- 미국 환경보호청은 유기염소계 살충제의 사용 금지 방안을 검토하는데 과일과 채소, 면화에 사용되는 이 살충제는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인간과 야생동물에게 신경계와 생식계의 위험을 초래합니다.
http://www.smh.com.au/environment/us-insecticide-ban-spurs-local-review-20100610-y0hd.html
http://yosemite.epa.gov/opa/admpress.nsf/d0cf6618525a9efb85257359003fb69d
/44c035d59d5e6d8f8525773c0072f26b!OpenDocument
http://yosemite.epa.gov/opa/admpress.nsf/0/44c035d59d5e6d8f8525773c0072f26b?OpenDocu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