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to friend  친구에게 보내기   이 비디오를 개인 홈페이지나 블로그에 게시하시려면 다음 버튼을 눌러 동영상 소스를 복사하세요.  동영상 소스 복사   프린트
Play with flash player Play with windows media ( 30 MB )

숲에 일어나고 있는 현상은 지구온난화의 원인과 결과 입니다.

핀란드는 현재 예년보다 추운 시기를 보내고 있습니다. 이는 온난화의 실상을 보여주는 놀라운 일중 하나 입니다. 핀란드 헬싱키 대학 티모 베살라 박사는 지역적 온도 불안정이 기후학자들이 경고한 세계적 온도 증가와 동일하게 나타나지 않는다고 답했습니다. 그는 선도적인 기상학자로 기후변화의 양상이 새로운 발견과 함께 더욱 복잡해지고 있음을 알아냈습니다.

핀란드 헬싱키 대학 기상학, 티모 베살라 박사: 대기권은 매우 복잡한 체계입니다. 대기권 자체뿐 아니라 지표면과 생태계에 있는 모든 것들이 상호 작용을 합니다.

리포터: 베살라 박사와 연구팀은 기후변화 효과가 명백히 나타나는 핀란드 고위도 지역인 보레알을 연구합니다. 새로운 연구에서 그 곳 숲들이 대기의 온난화에 반응하며 또한 온난화를 증가시킴을 발견했습니다.

베살라 박사: 공기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토양온도도 잇따라 상승합니다. 높은 온도와 따뜻한 가을과 겨울 날씨에서는 토양과 유기물, 쓰레기 등에서 나오는 자연적인 이산화탄소 배출이 높은 수준이 됩니다.
리포터: 성장하는 계절 봄철에는 나무들이 광합성 작용을 통해 더 많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베살라 박사는 변화된 기후로 인한 오랜 가을 가뭄이 사실상 이런 좋은 효과를 바꾸어 놓았음을 발견했습니다. 

베살라 박사:
물이 없기 때문에 실제로 나무들의 광합성 작용이  저하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정상적으로는  탄소를 처리해야 할 숲이 탄소를 꽤 많이 배출하고 있습니다. 이 배출 수치는 인류가 유발한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견줄 정도입니다.

리포터: 달리 말하면 전세계적 대기온도 상승에서 북극의 토양과 숲이 현재는 온실가스의 원천이 되고 있는 것입니다. 바사라 박사는 언젠가 대기가 혼란스럽지 않은 날이 오길 바라며 그 일을 돕는  몇몇 간단한 권고를  하셨습니다.

베살라 박사: 일상적인 삶과  계획 속에서 미래를 생각하세요. 채식으로 환경을 보호해서 지구를 구하십시오.

리포터: 우리 주변의 자연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전하기 위해 연구하고 노력하시는 베사라  박사와 그의 연구팀에 감사 드립니다. 과학적 발견이 우리의 행동을 인도하여 새롭고 더 나은 변화를 만들기를 바랍니다.  

Forest phenomena are both effect and cause of global warming.

 It is unusually cold at this time of year in Finland, which makes some wonder whether global warming is a reality. Dr. Timo Vesala of Finland’s University of Helsinki responds that local temperature fluctuations are not the same as the global temperature increase climatologists have warned about. In fact, as a lead meteorologist, he sees the picture of climate change grow more complex with each new finding.

Dr. Timo Vesala, Professor of Meteorology, University of Helsinki, Finland

Dr. Timo Vesala, Professor Meteorology, University of Helsinki, Finland: The atmosphere is a very complicated system. And not only atmosphere but it’s interacting with the surface, ecosystems, everything that is there on the surface.

VOICE: Dr. Vesala and his team study Finland’s high-latitude Boreal region, where climate change effects are magnified. In a new study, they found that the forests there were not only responding but also adding to the warming of the atmosphere.

Dr. Timo Vesala: So as the air temperatures increased, soil temperature is following it. And in higher temperatures, in the warm autumn and winters, the natural CO2 emissions, from the soil, from the decomposition of organic material, litter and so on, they are at elevated levels.

VOICE: In the springtime growing season, the trees are able to absorb more carbon dioxide through a process called photosynthesis. However, Dr. Vesala found that autumn droughts, prolonged by a changed climate, actually reverse these good effects.

Dr. Timo Vesala: Because there wasn’t really water, the trees were really shutting down their photosynthesis. And this normal forest which should take up the carbon, it was in fact releasing it, and quite a lot. In fact the numbers are even comparable to the anthropogenic, human-induced emissions of CO2.

VOICE: In other words, with global atmospheric temperatures on the rise, the Arctic soil and forests are now a source of greenhouse gas. Dr. Vesala hopes that someday the atmosphere won’t have to be so complex, stating some simple advice to help make that happen:

Dr. Timo Vesala: Take into account the future in everyday living and planning.
Go Veg, Be Green, Save the Planet.

VOICE: We thank Dr. Vesala and his team for their research and efforts to communicate the changes occurring in nature around us. May our actions be guided by these scientific findings in making new changes for the better.


유엔은 기후변화로 인해 난민이 크게  증가했음을 보고했습니다.

유엔난민고등판무관 (UHCR)은 기후변화 관련 자연 재해와 수자원 등의 자원 고갈 등이 개발도상국 주민들에게 고향을 떠나게 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고 경고합니다. 우간다 르웬조리산과 네팔 히말라야의 줄어드는 빙하, 말리, 차드, 에티오피아의 증발하는 호수 그리고 아이티의 산림벌채로 인해 전세계 난민이 3백만으로 증가했습니다. 온실가스 배출감소를 위한 세계적 노력 확대를 촉구하는 유엔 환경계획의 닉 너틀은 말합니다."우리는 지금 지구에서 목격하고 있습니다. 특별히 개도국 세계에서 기후변화는 환경 수준을 악화되게 하고 수백만 주민들이 의존하는  생활지원 체계를 파괴하고 있습니다." 경보에 주목해주신 유엔과 닉 너클 씨께 진심으로 감사 드립니다. 우리 모두가 지구온난화 해결에 주력하여 인간과 환경의 안녕을 지키기를 바랍니다.

UN reports highest increase in refugees due to climate change.

The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s (UNHCR) cautions that climate change-related natural disasters and dwindling resources such as water are causing people in developing nations to flee their homes. With shrinking glaciers in Uganda’s Rwenzori Mountains and Nepal’s Himalayas, evaporating lakes in Mali, Chad and Ethiopia, and eroding soil from Haiti’s deforestation, refugees worldwide rose by 3 million. Urging an increase in global effort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Nick Nuttall of the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said, “We are seeing right across the planet, particularly in the developing world, that climate change is generating levels of environmental degradation and wearing down the life support systems on which millions of people depend.”

Our deep appreciation, United Nations and Mr. Nuttall, for your observations of warning. May we all make global warming a top priority to safeguard the welfare of people and the environment.

http://www.timesonline.co.uk/tol/news/environment/article4159923.ece, http://www.scoop.co.nz/stories/WO0806/S00400.htm, http://www.abc.net.au/news/stories/2008/06/18/2277891.htm



북극해 빙하가 예상보다 빨리 사라지고 있습니다.

미 국립빙설자료센터 과학자들은  지난 겨울 강추위로 올 초 북극 빙하  면적은 넓었었지만, 현재는 작년 6월과 같은 양으로 줄었음을 발견했습니다. 영국 캠브리지에 있는 스코트 북극연구소의 이안 윌리스 박사는 "빙하는 바닷물보다 태양광선 반사율이 높아서 빙하가 녹으면 바다는 태양 에너지를 더 많이 흡수하고 온도가 상승해 결국 대기는 더 온난해진다."고 말합니다. 이런 중요한 사실을 알려준 국제 과학자들의 헌신적인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우리 모두 행성의 긴급한 상황을 깨달아 지구 온난화 제어를 위해 신속히 협력하길 기원합니다.


Arctic sea ice is disappearing quicker than expected.

Scientists from the US Snow and Ice Data Center (NSIDC) have found that the Arctic sea ice coverage has melted to the same area as in June of last year, even though this year started out with more ice due to a colder winter. Dr. Ian Willis of the Scott Polar Research Institute in Cambridge, UK, said, “Sea ice has a higher albedo (reflectivity) than ocean water; so as the ice melts, the water absorbs more of the Sun's energy and warms up more, and that in turn warms the atmosphere more.”

We are grateful for your dedicated work, international scientists, to bring us these vital facts. May we all realize the urgent situation of our planet and work together quickly to halt global warning.

http://news.bbc.co.uk/2/hi/science/nature/7461707.stm



기후 변화로 호주의 조류종이 멸종에 처하게 되었습니다.

이미 열 개 조류종이 멸종됐고 다른 60종도 비슷한  운명에 처해 있습니다. 호주 애들레이드 대학 데이빗 파튼 교수는 이 지역의 조류종  반이 멸종 위험에 처했는데 이는 어느 사회에서라도 묵인돼서는 안 되는 현상이라고 말합니다. 파튼 교수는 남부 호주 로프티 산맥의 15만 헥타르를 재조림하는 거대한 프로젝트를 계획합니다. 이는 원래의 생태계를 보호하고 조류종이 더 이상 멸종되는 것을 예방할 것입니다. 이 삼림회복 계획 시작에는 최소 1천 9백만 불이 들 것으로 추정됩니다. 파튼 박사는 적합하고 풍성한 서식지가 다시 생기면 추가 멸종은 피할 수 있을 것으로 낙관적으로 봅니다. 남아있는 동식물종을 살리기 위해 중대한 노력을 하는 파튼 박사께  감사드립니다. 신의 은총으로 모든 국가가 기후변화  제지와 다양한  야생생물의 경이로운  아름다움 회복을 위해 협력하길 기원합니다.  

Climate change puts Australian bird species on the brink of extinction.

With 10 bird species already extinct and another 60 on the verge of a similar fate, Professor David Paton from Adelaide University in Australia has said, “There's a real risk that you'll lose half the bird species from this region. I think that's something that should no longer be tolerated by any society.” Professor Paton is planning a large-scale project to re-vegetate up to 150,000 hectares of southern Australia’s Mount Lofty Ranges, which will protect native flora and fauna and prevent further bird species’ extinction. Estimating a minimum of nearly US$19 million to launch the Woodland Recovery Initiative, Dr. Paton is optimistic that additional species loss is avoidable if fitting and thriving habitats are re-introduced.

Our sincere appreciation, Dr. Paton, for your vital endeavor to save the remaining plants and animal species from further extinction. With God’s blessings, may all nations work together to stem climate change and restore all diverse wildlife to its wondrous beauty.

http://www.abc.net.au/news/stories/2008/06/18/2277949.htm?section=justin; http://www.sciencedaily.com/releases/2008/06/080618114738.htm